카카오뱅크주가 전망이 밝을지 어떨지 직접 판단해보아야 하겠다. 애매한 호재정보들이 즐비해 있기 때문인데, 지금부터 그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카카오뱅크주가 전망 최신업
카카오뱅크 주가가 5%상승을 하는중에 마감을 하여 상승세로 끝났다. 뿐만 아니라 은행주는 거의다 오른 것으로 보여진다.
카카오뱅크는 1조 지분을 블록딜에 나서기로 하였는데 우정사업본부가 이에 해당된다 카카오뱅크 보유 지분의 90%를 처분하겠다는 것이다.
대량의 주식을 판매하는 행위를 블록딜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되면 엄청난 매도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5%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떤일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겠지만 이를 뒤따라 카카오페이까지 상장목표를 내세우면서 카카오뱅크의 아성을 이어갈지도 주목받고 있다.
카카오뱅크 1조 지분 블록딜 나섰다
국민연금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큰손' 우정사업본부가 카카오뱅크 보유 지분의 90%를 처분하는 작업에 나섰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이날 장 마감 직후 카카오뱅크 보유 주식을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로 처분하고자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블록딜이란 장 마감 이후 대량의 주식을 파는 행위를 뜻한다. 특정 회사 지분을 많이 보유한 기업은 장 중에 주가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장이 마감된 뒤 투자자를 찾는다.
이번 거래 대상은 우정사업본부가 보유한 카카오뱅크 지분의 89.8%에 해당하는 1368만383주(지분율 2.9%)며, 할인율은 종가 대비 9.9~13.9%로 적용됐다. 최대 1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날 카카오뱅크의 종가는 8만8800원이었다. 우정사업본부가 주당 최대 8만원 선에서 처분하길 희망한다는 얘기다.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이번 블록딜 실무를 맡았다.
우정사업본부의 상장 직후 카카오뱅크 지분율은 약 3.2%로 카카오뱅크 주식을 1523만9183주 보유하고 있다. 블록딜이 성사되면 보유 주식 수는 155만8800주로 크게 줄어든다.
블록딜로 카카오뱅크 지분을 대부분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산운용업계에선 우정사업본부가 카카오뱅크 주식을 처분해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카카오뱅크의 종가(8만8800원)는 공모가(3만9000원)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상장 이후 외국인들이 순매수 포지션을 이어오며 주가를 끌어올려 왔다. 때마침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카카오뱅크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Neutral)'으로 조정했다.
주가가 회사의 성장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신영 골드만삭스 연구원은 "카카오뱅크가 빠르게 금융 업계의 주류로 들어와 대출 상품을 확장시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0~2025년 카카오뱅크의 주당순이익(EPS) 연평균 성장률을 74%로 전망하지만, 현재 밸류에이션은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대부분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주가 수준에선 카카오뱅크에 투자할 만한 매력이 높지 않다는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선 카카오뱅크에 대해 엇갈리는 전망이 나온다.
앞선 보고서에서 골드만삭스는 카카오뱅크 목표주가로 9만4000원을 제시했다. 신한금융투자(10만1000원)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SK증권(6만4000원), 교보증권(4만5000원)과는 편차가 크다.
SK증권과 교보증권의 목표주가는 현 주가(8만8800원)를 크게 밑돈다. 양극단의 전망이 나오는 것은 시각 차이 때문이다. 규제 산업인 '은행'으로 볼 때 성장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과 '플랫폼 기업'을 본다면 성장성이 높다는 의견이 팽팽히 대립 중인 상황이다.
가장 높은 목표주가를 제시한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집중 공략한 고신용 대출 시장 점유율은 잔액 기준 6.7%로 개인 대출 신규 기준 점유율이 13%에 달한다"며 "높은 대출 자산 성장과 낮은 비용에 따라 손익 분기점 돌파 시점도 빨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 핀테크에 대한 견제와 규제가 심해지고 있어 카카오뱅크의 투자 매력도는 높아질 것"이란 말도 덧붙였다. 골드만삭스처럼 국내에서 신중론을 펼치는 애널리스트도 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월간활성자수(MAU) 1인당 가치는 401만원으로 글로벌 금융 플랫폼 기업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라며 "현재 주가는 이미 시장의 기대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평가받는 스퀘어와 로빈후드, 페이팔의 MAU 1인당 가치는 각각 340만원, 224만원, 98만원 수준이다.
카카오뱅크 주가 5% 상승 마감
카카오뱅크는 9월1일 장마감 기준 전일대비 4,900원이 올라 5.84% 상승마감하였다. 시가 83,800원 고가 88,900원 저가 82,900원이다. 시가총액 42조 1,889억원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10위다.
은행주 거의다 올랐다 카카오뱅크 5%상승
은행 주가가 대부분 올랐다. 1일 카카오뱅크 주가는 전날보다 5.84%(4900원) 상승한 8만88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투자자는 729억 원, 기관투자자는 161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투자자는 888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신한금융지주 주가는 1.03%(400원) 오른 3만9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투자자는 164억 원가량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투자자는 146억 원, 기관투자자는 17억 원가량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0.44%(50원) 높아진 1만1300원에 장을 마무리했다. 외국인투자자는 76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투자자는 62억 원, 기관투자자는 14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KB금융지주 주가는 0.38%(200원) 더해진 5만3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투자자는 23억 원, 개인투자자는 9억 원가량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기관투자자는 33억 원가량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하나금융지주 주가는 0.11%(50원) 오른 4만51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투자자는 72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투자자는 42억 원, 기관투자자는 29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DGB금융지주(1.65%)와 BNK금융지주(1.55%) 주가도 올랐다.
카카오페이 10월 상장 예정 카카오뱅크 아성 이어갈까
카카오페이가 10월 14일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IPO(기업공개)에 나선다. 공모 희망가는 6~9만원이며 공모 예정 금액은 최대 1조5300억원이다.
카카오페이는 증권신고서를 정정 제출하고 하반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오는 29~30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0월 5~6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 뒤 14일 코스피에 상장하겠다는 목표다.
카카오페이는 기존 계획대로 이번 IPO를 통해 총 1700만주를 공모한다. 주당 공모 희망가는 기존 6만3000원~9만6000원에서 6만~9만원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약 1조5300억원 (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이번 증권신고서에서는 비교기업의 변화가 눈에 띈다.
카카오페이는 글로벌 핀테크 플랫폼인 ‘파그세그로’, ‘스톤’, ‘업스타트’를 비교기업으로 선정해 자사의 적정 시가총액을 17조7968억원으로 산출했다. 기존에 내세운 글로벌 간편결제 플랫폼 ‘페이팔’과 ‘스퀘어’가 비교 대상으로 적절치 않다는 지적을 받아들인 것이다.
아울러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가 인수회사로 추가됐다. 대표 주관사는 삼성증권, JP모간증권, 골드만삭스증권이며 대신증권이 공동주관사를 맡는다.
두 회사가 인수회사로 참여하게 되면서 삼성·JP모간·골드만삭스 등 대표 주관사 인수 물량이 기존 28%에서 26%로, 공동주관사인 대신증권의 배정 물량이 기존 16%에서 12%로 줄었다.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는 각각 8%, 2%의 주식을 모집하게 됐다. 카카오페이는 국내 최초로 일반 청약자 몫의 공모주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할 계획이다.
‘누구에게나 이로운 금융’이라는 기업 철학에 따라 공모주 청약의 장벽을 낮췄다. 최소 청약 기준은 20주로, 청약증거금 90만원만 있으면 누구나 카카오페이의 주주가 될 수 있다.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는 “카카오페이는 결제, 송금, 투자, 보험, 대출, 자산관리 등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서 약 130개 금융사와 협력하고 있다”며 “범용성, 연결성, 확장성을 기반으로 주주 가치를 높이며 3650만 사용자를 넘어 전 국민의 금융 생활을 이롭게 하는 변화를 일으켜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주가 전망 최신업
삼성전자 주가가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지 알아보고 앞으로의 삼성전자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주가 전망 최신업 삼성전자주가가 현재
qsef.kimtech5318.com
삼성전자 주가 전망 전방위적 선순환구도 확대
삼성전자가 크게 전체적으로 모습을 바꾸려는 기미가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성장하게 될지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주가 전망 전방위적 선순환구도 확대 삼성전자
qsef.kimtech5318.com
지금까지 카카오뱅크주가 전망을 알아보았다.
댓글